동기부여

게으른 나를 실천하게 만드는 두 가지

John Done 2020. 2. 14. 22:31
반응형

저 포함 인간은 애초부터 게으른 존재입니다. 놀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이 이 세상에 어디 있을까요?

 

본인의 자발성에 큰 기대를 갖지 말아야 합니다.

 

나는 게으르기 때문에 나를 움직일 수 있는 강력한 체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강력한 실행력을 갖게 되는 두 가지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심리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접근 동기와 회피 동기입니다.

 

1. 아, 근데 그전에!

 

우리 선조들은 인간의 게으름을 이미 알고 계시었죠. 그래서 시작이 반이라고 하신 것 같아요.

 

아주 작은 것부터 일단 시작부터 해야 합니다.

 

실행하면 조금씩 그 일이 좀 더 늘어나게 된답니다.

 

"아~ 운동해야 되는데....", "아~영어회화 공부해야 되는데~....."아 다이어트 해야되는데~..."

 

꼭 이러고 아 내일부터 하지 뭐....그러고 안하게 되죠.

 

뒤에 언급할 게으른 원숭이가 하는 말이니 절대 유혹에 넘어가서는 안됩니다.

 

그러니까, 우선 아주 작은 것 부터 실행을 하는겁니다.

 

운동을 예로 들어볼까요? 처음부터 팔굽혀펴기 100개부터 하지 마세요.

 

질려버려서 안합니다. 그렇게 하지 말고, 하루에 1개부터 하는 겁니다.

 

그냥 하루에 한개 하고 끝. 자 내일은 2개. 그 다음날은 3개..... 아 하루에 10개이상 못하겠다.

 

그럼 10개를 하세요. 매일..그러다 10개를 했는데, 어느 순간 "어? 힘이 좀 남는데?

 

1개만 더하자..." 그럼 그날은 11개를 한거네요.

 

기록경신!  그러면서 나만의 체력을 확장해 나가면 됩니다.

 

중요한건 시작이고, 그 시작은 아주 작게.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2. 접근동기=당근=소확행

 

"나는 이 공부(일)을 끝내면 무조건 영화볼거야."  "아 이 블로그 쓰고 미스터 트롯 무조건 다시보기 봐야지.

 

그 전에 열심히 글을 써보자" " 다이어트 이 번한주 열심히 했으니까, 이번 토요일에는 내가 좋아하는 굽네치킨에 맥주한잔 해야겠다"

 

이런 당근을 주세요.

 

이런 당근을 심리학 용어로 접근 동기라고 합니다.

 

접근할 수 있는 +적인 마음인거죠.

 

이런 소소한 행복때문에 힘든것도 버틸 수 있거든요. 전 치킨먹으려고 운동합니다 ㅋㅋ

 

 

3. 회피동기=채찍=패닉몬스터

 

자, 이제부터는 좀 무섭게 나를 몰아부칠 대상을 만들거에요.

 

제일먼저 무엇을 할것인지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합니다.

 

공부해야지가 아니라, 영어 단어 100개 체킹하면서 읽어야지.

 

그리고 독해문제 오늘 12문제 풀고 채점하고 오답정리해야지.

 

이런식의 효율적인 방법을 세워서 구체적으로 정해보는 겁니다. 

 

자, 그다음엔 아주 중요한데. 중간중간에 적절히 패닉 몬스터를 배치하는 겁니다. 

이 용어는 Tim Urban 블로그 작가가 말하는 영상속에서 나오는 건데요. 한번 봐보세요..

https://youtu.be/arj7oStGLkU

 

우리 머리속에는 "쉽고 재미있는게 최고야" 라고 생각하는 우리 뇌속의 악마 원숭이에요.

 

결국 이 놈때문에 우리는 중요한 일을 미루고미루게 하는 놈이죠.

 

근데 이 원숭이가 제일 무서워 하는 존재가 있었으니 바로 패닉몬스터입니다.

 

이 착한 괴물은 당장 이 일을 해결하지 않으면 신변에 위협이 닥치게 하는 괴물이에요.

 

이 착한 괴물은 쉽고 재밌는 걸 아주 혐오하죠.

 

우리는 바로 이 패닉몬스터를 일이나 공부 중간에 배치하는 거에요.

 

미루게 하는 요인은 악마 원숭이를 패닉몬스터로 죽여야 합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마감기한을 정하는 겁니다.

 

몇시간을 할지 아니면 이번주 까지 혹은 다음달까지 나는 이러이러한 일 또는 공부를 끝내겠어 라고 하는 기한을 정하는 거죠.

 

이러한 마감기한이 없으면 우리는 뭐다?

 

게으른 존재이기에 그냥 세월아 네월아 하면서 질질끌면서 흐지부지의 길로 가게 되는거 인정하시나요?

 

 

 

우리가 혼자 공부를 하거나 무언가를 감독자 없이 혼자하려고 할 때, 게으른 원숭이 때문에 방향성도 흐려지고 목표에도 도잘하지 못합니다.

 

당장 먹고사는 문제도 아니고 당장 돈을 버는 일이 아닌일이 실천력이 떨어지죠.

 

따라서, 당근과 채찍을 특히 이 채찍=패닉몬스터=회피동기를 통해 통제하면서 실행한다면 우리가 원하는 목표에 근접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반응형